• 최종편집 2023-03-29(수)
 

[현대건강신문] #사례. 직장인 박씨(30대, 여)는 아이가 새벽부터 38.5도가 넘는 고열로 힘들어하자 병원을 찾았다. 냉방병이나 코로나를 의심하였지만, 입속에 작은 수포를 확인하고 수족구로 진단받았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후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영유아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한 번쯤 겪어보는 질병, 수족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손이나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게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봄부터 발생하고 7~8월 유행이 최고조에 이르는 경향을 보인다. 


주로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이나 수포의 진물 등으로 감염된다.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면 약 4~6일 정도의 짧은 잠복기를 거쳐 발열, 인후통, 식욕 부진, 피로감 등 이 나타나며 손과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긴다. 


수족구병은 항바이러스제 등의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다. 증상은 3일~7일 이내에 사라지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된다. 그러나 입안의 통증으로 인해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인해 탈수가 올 수도 있고 심하면 쇼크나 탈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드물지만, 면역력이 아직 발달하지 않은 어린 영아의 경우 뇌수막염이나 뇌염, 쇼크, 사망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의 경우 예방접종과 치료약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수족구병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화장실 사용을 하거나 기저귀를 간 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기를 해야 한다. 


또한 장난감과 물건의 표면은 비누와 물로 세척한 후 소독제로 닦아야 한다. 더불어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의 경우에는 열이 내리고 입 안의 물집이 나을 때까지 격리해야 한다.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 감염을 예방하도록 하자. [자료=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건강검진센터]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냉방병으로 오인 쉬운 수족구병, 활동량 늘며 환자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