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인순 의원 “4차 백신 잘 안 맞아, 감염예방율 낮아 백신 효과 불신 커”
백경란 질병청장 “유행시기 기다리기 위험, 고위험군 접종 권유”
청장 “생산·허가 절차 고려하면 4~5개월 뒤에 접종 가능”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1만 명을 기록하면서 대유행 조심이 보이자, 정부는 백신 접종 대상자를 확대했지만 좀처럼 접종율이 오르지 않고 있다.
7월 들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자 정부는 지난달 13일 4차 접종 대상자를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50대 연령층 △18세 이상 성인 기저질환자 △장애인 △노숙인 시설 입소자와 종사자로 확대했다.
하지만 3일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율은 △1차 87.9% △2차 87.0% △3차 65.2% △4차 11.3%로, 4차 백신 접종자는 60세 이상은 38%이지만 60세 미만은 1.9%에 불과하다.
지난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하반기 첫 회의에서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민들 중 코로나19 변이에 효과가 있는) 개량 백신이 나오면 그때 맞겠다는 분들이 있다”며 현재 백신 접종에 소극적인 상황을 소개했다.
의원들의 질의와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의 답변 과정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개량백신 도입 시기도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26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무회의에서 ‘자율적인 거리두기 실천방안’을 발표하며 “개발백신을 하반기에 최대한 신속하게 도입해 활용할 계획으로, 8월말 도입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개량 백신 관련 해외 연구에서 항체가 높게 나온다는 연구가 있지만 외국 개발 상황을 봤을 때 8월말이나 9월초가 돼야 할 것 같다”며 “개발국가에 비해 (수입국가의) 생산, 허가 절차를 고려하면 4~5개월 뒤에 (접종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 청장은 “개량백신을 기다리기엔 유행하는 시기라 위험하다”며 “최근 유행이 커지면서 미국에서도 기존 백신 접종을 권하고 있어, 국민들도 접종을 받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의원들은 백신 접종률 제고를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방역을 위해 국민적 신뢰가 중요한데, 윤석열 정부 지지율을 보면 방역정책에 대해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국민들이) 안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청장이 ‘국가 주도 방역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했는데 이 말은 결국 국가가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지적하자 백 청장은 “국가주도라는 것은 시간, 인원 등 제한을 일률적으로 하는 거리두기는 어렵다는 의미”라고 답했다.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도 “지금 백신이 남아도는데 (국민들이) 맞지 않는데, 정부가 확실한 대책을 세워한다”며 “(복지부) 차관이라도 홍보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 청장은 “예방 접종 홍보는 질병관리청과 지자체에서 하고 있지만 확진자 관리를 위해 (접종이) 매우 중요해 조금 더 챙겨보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