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 허리 뻣뻣함, 단순 근육통 아냐…강직척추염 의심해야
- 여름철 냉방·탈수도 악화 요인…관절 관리에 주의 필요
- 스트레칭·수분 섭취·체온 유지가 핵심 예방법
- “환절기뿐 아니라 여름에도 증상 심해져 병원 찾는 환자 많아”
[현대건강신문] 강직척추염 환자들은 아침에 일어날 때 허리가 뻣뻣하고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온이 낮아지는 환절기나 겨울철에는 이러한 증상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름철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냉방으로 인한 실내외 온도 차,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한 탈수, 급격한 환경 변화 등이 증상 악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절에 맞는 적절한 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강직척추염은 척추와 천장관절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자가염증질환으로, 기온과 습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상헌 교수는 “강직척추염은 염증성 허리 통증이 특징으로, 특히 아침에 관절이 뻣뻣하고 움직이기 어렵다고 느끼는 환자가 많다”며 “기온이 낮아지면 혈류가 둔해지고, 근육과 인대가 수축되며 경직되기 때문에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교수는 “기온과 습도의 변화는 염증 질환의 활성을 자극하는 요인 중 하나로, 이 시기에 증상 악화를 겪으며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강직척추염으로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약 11만 5,000명에 달한다. 남성 환자 비율이 높아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며, 주로 20~40대의 활동량이 많은 연령대에서 발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젊은 연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더불어 계절 변화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기 쉬워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계절에 따른 예방과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그렇다면 여름철에는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 실내 냉방으로 관절이 찬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관절과 주변 인대, 근육이 수축되어 경직감 등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한 수분 부족도 관절의 유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상헌 교수는 “여름철에는 에어컨 바람이 관절 부위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하루 1.5~2리터 정도의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며 “실내외 온도 차로 인해 근육과 인대가 긴장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이라도 가벼운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