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7(목)
 
  • ‘1형당뇨병 정책 성과와 과제’ 국회 토론회서 1형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 밝혀
  • 올해 초 비슷한 사건 일어나 같은 일 반복
  • 교육부, 1형당뇨 학생 인슐린주사·전자기기 사용 허용 공문 시·도에 전달
  • 의정 갈등으로 복지부와 제대로 논의조차 안돼
본문_기본_사진3 copy.jpg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명옥 의원실에서 주최한 ‘1형당뇨병 정책 성과와 과제 토론회’에서 1형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왼쪽 두번째)는 “1년이 지난 지금 달라진 것은 거의 없다”며 “오늘 복지부 관계자와 만났지만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말만 들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본문_기본_사진2 copy.jpg
이날 토론회에는 1형당뇨병 환자와 환자 보호자들이 많이 참석해, △성인 1형당뇨 환자의 의료비 지원 확대 △중증 난치질환 인정이 필요하다고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충남 태안에서 1형당뇨 환자를 둔 가족이 생을 마감하는 비극적 사건이 발생했지만, 올해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해 환자들은 정부의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난해 태안 사건 이후 환자 단체는 ‘1형당뇨병’을 ‘췌장장애’로 인정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고,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은 1형당뇨 환자들과 만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태안 사건 이후 한국1형당뇨병환우회(1형당뇨병환우회)는 △췌장장애 인정 △중증 난치질환 인정 △연령 구분 없이 의료비 본인 부담률 10% 이하로 지원 △요양비를 요양급여로 변경 △1형당뇨 학생을 위한 인슐린 주사, 의료기기 연동 전자기기 사용 허용, 입학·전학 시 근거리 배정 등 지원을 요구했다.


지난해 교육부는 1형당뇨·암·희귀질환 학생의 근거리 배정을 허용하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했고, 인슐린 주사·전자기기 사용을 허용하라는 공문을 각 시도 교육청에 전달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도 교육 현장에서 혼선은 여전하고, 의정 사태로 보건복지부는 ‘1형당뇨 제도 개선’ 논의 자리조차 만들지 못하고 있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명옥 의원(국민의힘)실에서 주최한 ‘1형당뇨병 정책 성과와 과제 토론회’에서 1형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는 “1년이 지난 지금 달라진 것은 거의 없다”며 “오늘 복지부 관계자와 만났지만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말만 들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1형당뇨병 환자와 환자 보호자들이 많이 참석해, △성인 1형당뇨 환자의 의료비 지원 확대 △중증 난치질환 인정이 필요하다고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김미영 대표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으로 입원이나 전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1차 의료기관에서는 요양비 처방전 발급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전문질환으로 변경되어야 하지만 더 나아가 중증 난치질환으로 인정되어 의료비 지원확대, 상담·교육 수가 마련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1형당뇨 환자들이 치료비 걱정 없이 건강을 돌볼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1형당뇨 환자와 가족들은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루고 있어, 정부와 사회가 외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2

화이팅

이번에 중학교 입학하면서 또 들고 가서 설명하면서.. 그래도 환우회의 많은 노력으로 공문도 받고 노력이 헛되지는 않구나, 생각합니다. 다만, 나이가 들어서 병이 낫는것도 아니고.. 관리가 조금만 소홀하면 합병증으로 연결이 되는데 중증질환으로 인정받아야 하는부분과 성인 환우에 대한 지원도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바뀌어야 할 부분들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댓글댓글 (0)
lefta

기사 감사합니다. 또다른 악몽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보건 정책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길 바랍니다.

댓글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태안 1형당뇨 가족 사건 1년...“달라진 것 거의 없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