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피스, 해양다큐 씨그널 국회시사회 열고 비준 촉구
-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 국회 동의 절차만 남아
- 그린피스 “국회가 앞장서 역사적인 해양 비준 함께해달라”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한국 정부의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을 촉구하기 위한 해양 다큐멘터리 국회시사회가 열렸다. 현재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은 막바지에 다다른 상황이다.
그린피스는 환경부 장관을 역임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인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 그리고 그린피스 후원자 및 해양보호 시민사회 단체들과 함께 4일 국회에서 해양 파괴의 심각성을 다룬 다큐멘터리 씨그널(SEAGNAL) 시사회를 진행했다.
이번 시사회는 공해 보호를 위한 글로벌 해양조약 (협정·국가관활권 이원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협약, BBNJ) 비준안의 국회 동의를 촉구하기 위해 열렸다.
공해는 전 세계 바다의 3분의 2를 차지하지만 각국의 주권이 미치지 않아 자원 남획 등으로 파괴가 심각한 상황이다. 모든 상어와 가오리 종의 37%가 멸종위기에 처했으며 매년 약 1억 마리의 상어가 상업적으로 포획되고 있다.
지난 50년 동안 전 세계 상어 개체 수는 70% 감소했다. 최근에는 심해채굴을 하려는 움직임까지 더해져 공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기구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국제사회는 지난 2023년 초 글로벌 해양조약인 BBNJ 협정을 합의했고 한국 정부는 그해 10월 해당 협정에 서명하며 해양보호에 대한 의지를 보였지만 비준은 아직 하지 않았다. 비준안은 현재 국무회의를 통과해 국회 동의 절차만이 남은 상황이다.
한정애 의원은 “글로벌 해양조약이 비준되고 발효되면 전 지구 차원의 해양보호구역 네트워크가 구축돼 해양 생물이 회복하고 번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며 “특히 오는 4월 부산에서 해양오염, 기후변화, 해양안보를 논의하는 고위급 국제회의 아워오션 컨퍼런스가(OOC)가 계최될 예정인 만큼 비준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배 의원은 “BBNJ 협정이 지난 2월 26일 우리 국회 외통위에 상정됐고 오는 6일 외통위 법안소위에서 논의될 예정”이라며 “비준안이 국회 동의 절차만을 남겨두고 있는 만큼, 외통위 간사로서 빠른 시일 내에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BBNJ 협정은 공해 내 해양생물 보전을 목표로 하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최초의 조약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하지만 60개국 이상의 비준이 있어야 비로소 발효될 수 있기에, 한국이 이 흐름에 서둘러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5일 기준으로 비준을 완료한 국가는 18개국이다.
김 캠페이너는 이어 “이제 공은 국회로 넘어갔다. 이번 시사회를 통해 그린피스가 시민들과 함께 만든 해양보호의 신호, 씨그널(SEAGANL)이 국회에 닿기를 바란다”며 “공해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국제적 합의가 실행될 수 있도록 국회가 앞장서 조속한 비준을 추진하고 해양 보호를 위한 역사적인 걸음에 함께 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상영된 다큐멘터리 씨그널은 바다(Sea)가 전하는 마지막 신호(Signal) 라는 의미로 위기에 처한 바다를 마주한 목격자들의 이야기가 담겼다. 다큐멘터리에는 인도네시아의 농부, 호주의 수중사진작가, 한국의 제주해녀, 멕시코의 어민, 스페인의 바다소음 연구자 등이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