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 시장점유율 1위…치료제 승인으로 수요 급증 예상
  • 김상우 대표 “듀켐바이오, 아시아 방사성의약품 허브로 만들 것”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김상우 듀켐바이오 대표는 IPO를 통해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신약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CDMO 생산 시설에 선투자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진단 방사성의약품 국내 시장 1위 기업인 듀켐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에 본격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듀켐바이오는 6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공개(IPO)와 향후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김상우 듀켐바이오 대표는 IPO를 통해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신약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CDMO 생산 시설에 선투자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듀켐바이오는 국내 최대 의약품 유통업체인 지오영의 자회사로 방사성의약품 업계에서 독보적 위치에 자리한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이다. 특히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는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글로벌 수준의 GMP시설을 갖춘 최다 제조소 12곳을 운영하고 있다. 


김 대표는 듀켐바이오를 치매치료제 ‘레켐비’의 국내 출시와 함께 치매 진단 분야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방사성의약품 CDMO 허브로 성장시킨다는 전략이다.


듀켐바이오는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는 시장점유율 90%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올해 레켐비 국내 승인에 이어 도나네맙까지 글로벌 시장에 등장한 가운데, 듀켐바이오는 각 신약의 국내 임상 과정에 진단제를 공급하기도 했다. 치매 치료제 공급이 본격화되면 방사성의약품 진단제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방사성의약품 R&D 전문기업을 인수하면서 신약 개발을 위한 역량 강화에도 본격적으로 나섰다. 


듀켐바이오는 최근 방사성의약품 R&D 전문기업 ‘라디오디앤에스랩스’ 지분 100%를 인수했다. 기존 추진 중이던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관련 개발과 사업화 역량을 강화하고 최종 상업화를 통한 글로벌 방사성의약품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 특정 부위의 영상을 촬용하거나 기능을 측정한다. 대표적으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이나 단일광자 방출 단층촬영(SPECT)에서 사용된다.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암 세포 등 병변 부위에 방사선을 직접 전달해 암세포의 파괴를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암세포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함으로써 주변 정상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치료용 방사선의약품은 노바티스의 '루타테라'와 '플루빅토', 바이엘의 '조피고' 등이 있다. 특히 플루빅토는 지난해 매출이 1조 4,000억원에 이르며, 앞으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성장세를 더욱 가파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상우 대표는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의약품을 공급하면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꾸준히 지켜올 수 있었다”며,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의 아시아 공급 허브로 자리잡겠다”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듀켐바이오’ 코스닥 상장 통해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CDMO 진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