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 정기석 이사장, 비만 기준 논란에 ‘27 고수’ 밝혀
  • 800만 명 10년 동안 관찰한 결과
  • “BMI 25, 가장 오래 살아....BMI 24, 26도 비슷”
  • 비만학회 “만성질환 발생하는 BMI 25부터 관리해야”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800만 명을 대상으로 10년간 BMI와 총사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5kg/m²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며 “그 이상의 BMI에서 지속적으로 사망 위험이 증가했다”고 발표 근거를 제시했다. (사진=픽사베이)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의사 출신인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 정기석 이사장이 신체질량지수(BMI) 기준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발언을 했다.


신체질량지수(BMI)는 신장과 체중으로 비만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비만 진단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난 8일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비만 진단 기준을 신체질량지수 25kg/m²에서 최소 27kg/m²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800만 명을 대상으로 10년간 BMI와 총사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5kg/m²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며 “그 이상의 BMI에서 지속적으로 사망 위험이 증가했다”고 발표 근거를 제시했다.


이후 비만을 연구하는 의료인 모임인 대한비만학회는 “비만 관련 만성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25kg/m² 이상이 비만진단 기준으로 타당하다”며 “학회는 비만 동반 질환을 고려해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반박했다.

인물사진-중-수정 copy.jpg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석 이사장

 

건보공단 정기석 이사장은 지난달 28일 열린 간담회에서 비만기준 논란에 관해 입장을 밝히며 “800만 명을 조사하니 25kg/m²가 제일 오래 살았다”며 “25kg/m²가 오래 살면, 26kg/m², 24kg/m²도 오래 사는 것”이라고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더 나아가 정 이사장은 ‘질병 진단 기준’ 변화로 많은 국민들이 환자로 규정되는 현실에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정 이사장은 “지금 살 빼는 약들이 많고 주변에서도 알게 모르게 (살 빼는 약을) 처방 받아 먹고 있는데 (25kg/m² 이상을) 병이라고 하면 큰 일 난다”며 “지금 우리나라 전체 중 몇 십%가 비만이라고 말하는 사회가 옳은 지 의문”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예전 영국의 외과의사가 어느 마을에 들어갔는데 3년 만에 동네 마을 사람들의 위가 다 없어졌다는 얘기가 있다”며 “의사 눈에는 항상 병이 보이기 마련이고 자기가 해결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고혈압 기준 변화도 문제라고 지적한 정 이사장은 “고혈압 기준도 올랐는데, 옛날에는 이렇지 않았다”며 “정상과 비정상은 의학적으로 보면 상위 5%와 하위 5%를 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보공단 이사장 “BMI 27부터 관리 문제 없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