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제품은 2캔 마시면 당류 하루 권고량 넘어 주의 필요
- 소시모 “주류 제품 열량, 당류 확인 어려워 표시 확대 필요”
[현대건강신문]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 등에 탄산음료나 토닉워터 등을 섞어 마시는 ‘하이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이볼을 제조하지 않고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캔하이볼 제품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캔하이볼은 술에 다양한 맛과 향을 첨가해 소비자들이 단맛을 강하게 느낄 수 있지만 주류는 영양표시 대상이 아니어서 소비자들은 열량과 당류 함량을 확인하기 어렵다.
(사)소비자시민모임은 편의점과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캔 하이볼 25개 제품을 대상으로 열량과 당류 함량을 시험 검사한 결과, 하이볼 1캔의 평균 당류 함량이 하루 권고량의 3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캔의 당류 함량이 하루 권고량의 절반 이상인 제품도 9개였다.
켄하이볼 25개 제품의 당류 함량 검사 결과, 1캔의 평균 당류 함량은 17.5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권고량(50g) 대비 3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설탕(3g) 약 6개 분량에 해당한다.
제품별로 1캔에 들어 있는 당류 함량은 0.0g~40.7g으로 하이볼 1캔만 마셔도 하루 권고량에 최대 81.4%까지 당류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캔당 당류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자몽허니블랙티하피볼(500ml)’로 한 캔에 당류가 40.7g 들어 있었다. 당류 함량이 0g인 제품은 △어프어프 레몬토닉 하이볼 제로슈거 △처음처럼 실론티 하이볼 △트리키콜라 더리얼위스키 등 3개 제품이었다.
‘제로 슈거’ 표시 제품 중 츄하이 자몽 슈가 제로‘는 1캔(500ml)의 당류 함량이 1.0g으로 조사됐는데, 해당 제품은 100ml당 당류 함량이 0.5g 미만으로 ’무당류‘ 표시 조건에는 만족했다.
또한 25개 제품 중 9개는 1캔당 당류 함량이 25g 이상으로 하루 권고량(50g)의 절반을 넘어 두 캔만 마셔도 당류 하루 권고량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주류의 열량은 체중 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어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도록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제로 슈거’ 표시 제품도 과다 섭취 시 상당한 열량을 섭취할 수 있어 과도하게 마시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알코올은 1g당 7kcal의 열량을 발생시키며, 에너지원으로 우선 소요되기 때문에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다른 열량원이 소모되지 못한 체 채내에 축적된다. 특히 안주 등과 함께 섭취하는 경우 과다한 열량을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2022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6개 주류협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주류 제품에 열량 표시를 더 많은 제품으로 확대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주종별 매출액 120억 원 이상은 업체가 자율적으로 참여해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