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금)
 
  •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등 전체 교수 중 절반 ‘휴진 참여’
  • 의협, ‘의대 증원 재논의’ 포함한 ‘3대 정부 요구안’ 제시
  • 환자단체연합회 “환자들 의대 정원 숫자 관련해 잘못 없어”
  • 암환자권익협의회 “암 환자 진료 거부 경험, 환자 피해 없다는 말, 언론 포장 불과”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지난 14일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이 의사들의 무기한 휴진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는 대자보 옆으로 한 내원객이 지나가고 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오늘(17일)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고 내일(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집단 휴진’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의료 현장의 혼란이 불가피해졌다.


서울대병원 콜센터는 신규 외래 진료를 문의하는 환자들에게 “6개월 이후 예약이 가능하다”며 “이번 사태가 마무리되면 다시 예약 조정이 가능할 것 같다”는 안내를 하고 있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지난 16일 휴진 첫 주인 17일부터 22일까지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한 교수가 전체 교수 967명 중 529명으로 54.8% 달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등 3개 병원의 수술장 가동율은 62.7%에서 33.5%로 떨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휴진으로 진료 예약 변경이 된 경우 개별 교수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 지원을 통해 환자들에게 알려드리고 있다”며 “현재까지 비대위에 접수된 지원 요청 건 모두에 대해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내일(18일) 전면 휴진을 주도하고 있는 의협은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 수정 △정부가 일방적으로 통보한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등 대정부 요구사항을 제안하며,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18일 전면 휴진의 보류에 대해 회원 투표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사들의 전면적인 휴진을 앞두고 환자단체들은 ‘의대 정원 증원 추진’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환자들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환연)는 17일 입장문을 내고 “서울대의대 비대위에서 응급·중증환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꼭 ‘무기한 전체 휴진’을 선택해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비응급이나 중등도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말인지,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의사단체간 갈등으로 촉발된 이번 사태에 환자들은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주장도 나왔다.


환연은 “환자는 의대정원 숫자,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추진 관련해 아무런 잘못이 없다”며 “그런데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보아야 하냐”고 분노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김성주 대표도 “지금도 암환자 10명 중 6명은 진료 거부를 경험했고, 절반은 치료가 지연되고 있다고 하는데 왜 교수들은 중증·응급환자들은 문제가 없다는 언론에 포장된 발표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의료계 내부 갈등에 정작 피해를 보는 건 중증환자들”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정부는 이러한 의료 공백으로 인한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의료계도 단일 대화 창구를 마련하여 정부와 협력하여 이 사태를 하루 빨리 해결 할 협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휴진...환자단체 “갈등 밖 환자에게 큰 피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