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말고 지진대 조사부터”
- “진앙지 50km 내 핵발전소 안전 장담 못해”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전북 부안군에서 진도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자 환경단체가 진앙지에서 50km 떨어진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의 수명 연장 시도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상청은 “오늘(12일) 오전 8시 26분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깊이는 8㎞ 지점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오후까지 주택 손상 외에 대규모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진앙지에서 직선거리로 50여㎞ 내에 위치한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환경운동연합(환경연합)은 12일 오후 논평을 통해 “윤석열 정부가 노후 핵발전소 수명 연장을 추진하면서, 한빛원전 1, 2호기를 10년 더 가동하겠다고 나선 상황”이라며 “문제는 한빛원전이 국내원전 가운데 안전성이 가장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빛원전 1, 2호기는 각각 1985년 12월, 1986년 9월 운영 허가를 받고 가동을 시작해 2025년 12월, 2026년 9월 각각 40년의 설계 수명을 마치고 폐로될 예정이었다.
환경연합은 “지난해 국회를 통해 고리·월성 원전이 지진 발생이 가능한 단층을 고려한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고 영광·한빛 원전 내진설계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며 “정부는 중대사고 위험에 대한 평가도, 최신안전기술도 적용하지 않은 원전의 수명연장을 추진해서는 안되고 무리한 수명연장 추진 대신 지진 안전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