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4월 광역단체 17곳 중 9곳 초고령사회로 진입
- 서삼석 의원 “농어촌 중심 심화되는 고령화, 전문적 대응 필요”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2027년이 되면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환갑이 넘을 전망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0.7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인데 반해, 2024년 5월 기준으로 광역단체 17곳 중 9곳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저출산 고령화가 더욱 심화된 것이다.
현재 저출생·고령화 대응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위원장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정부 부처를 총괄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저출생대응기획부’를 부총리가 이끄는 조직으로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3일 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저출생 수석실’ 설치를 준비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대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주무 부처 명칭을 저출생·고령화를 대비할 수 있도록 ‘저출생고령화대응기획부’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서 의원은 “(윤 대통령이) 저출생대응기획부 설립 취지를 발표했지만, 고령화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확인하기 어려웠다”며 “노인에 대한 국가적 책무와 정부 내 인구 문제를 전담할 컨트롤타워로서 부처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정립하자는 취지”라고 제안 배경을 설명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고령인구는 2022년 898만 명에서 2025년에 1,000만 명을 넘고, 2072년에는 1,727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 인구 중 중간 연령인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31년 50세를 넘고, 2072년 63.4세까지 증가해 인구의 절반 이상이 환갑을 넘을 전망이다.
2024년 4월 기준 고령화율은 19.3%로 지난 2023년 12월 19%에 비해 0.3% 증가했다. 특히 고령화율이 20% 이상일 경우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동월 기준 17개 광역시도 중 9개는 이미 대상이며, 이중 전라남도가 26.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