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 기반 방광 약물 치료와 치매 연관성 연구결과 나와
- 베타-3 작용제 치매 발병 위험 가능성 제기한 세계 최초의 연구 결과
- 항콜린제와 베타-3 작용제 병용 시 치매 발병률 가장 높아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과민성 방광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들이 치매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는 사용해서 안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항콜린제의 경우 이미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물로 알려진 베타-3 작용제도 치매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과민성 방광 환자 치료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대한비뇨의학회(회장 홍준혁)는 “Enhancing Urology with Expertise, Innovation and Passion”이라는 슬로건 아래 2023년 11월 1일부터 4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대한비뇨의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KUA 2023 학술대회에서는'방광 약물 치료 (항콜린제 단독요법,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 또는 병용요법)와 치매와의 연관성: 일반인 기반 한국 코호트 연구(발표자 박지수/국립소록도병원, 교신저자 함원식/신촌세브란스병원)'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과민성 방광 치료제로 사용되는 항콜린제는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베타-3 작용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치매에 있어서 안전한 약물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 혹은 항콜린제와 베타-3 작용제를 같이 사용하는 병용요법과 치매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자료를 이용해 2015년부터 2020년 사이 과민성 방광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 항콜린제 단독요법 또는 병용요법으로 약물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의 치매 발병 위험도를 비교했다. 치매와의 연관성이 보고된 인자들에 대한 보정 및 누적 약물 노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누적 정의 1일 용량을 기반으로 치매의 위험도에 대해 평가했다.
총 3,452,705명(평균 연령 56.9세)의 과민성 방광 환자들에 대해 분석했다. 이 중 항콜린제 단독요법을 받은 환자의 비율은 56.3%였으며,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은 19.5%, 병용요법은 24.2% 였다.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 환자에 비해 항콜린제 단독요법 환자의 치매 발병 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특히, 항콜린제와 베타-3 작용제의 병용요법은 항콜린제 단독요법에 비해 치매 발병률이 높았으며, 3가지 약물치료 유형 중 치매 발병률이 제일 높았다.
또한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의 경우에도 누적 용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발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번 연구는 대규모 한국인 코호트 연구를 통해 기존 해외 국가들의 코호트 연구들에서 밝혀진 항콜린제와 치매와의 연관성에 대해 다시 한번 검증한 것”이라며 “베타-3 작용제 단독요법 역시 누적 용량에 따라 치매 발병률을 높임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병용요법으로 치매 위험이 가장 크게 증가함을 보여주어, 기존에 항콜린제를 투여하던 과민성 방광 환자에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베타-3 작용제를 시작할 때, 사용하던 항콜린제는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치매 위험 요인이 있을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시사점이다.
연구팀은 “베타-3 작용제 역시 치매 위험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사용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과민성 방광 치료와 치매의 연관성을 본 첫 국내 연구이자, 베타-3 작용제의 치매 발병 위험에 대한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제기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