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과학회, 대국민 귀 건강 포럼 개최
- 송재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검증되지 않은 이명 치료법 난무”
- “누구나 이명 느껴, 삶의 질 영향 시 치료 필요”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난청에 동반되는 이명 증상을 낫게 한다는 ‘비과학적인’ 치료법이 난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명은 외부의 청각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소리를 느끼는 증상으로, 난청이 발생하면 이명 증상을 느낄 수 있다.
올 해 8월 미국 의학협회지 ‘JAMA 신경학’ 학술지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중 7억4천만 명 이상이 이명을 경험하며 이중 1억2천만 명은 이명을 심각한 증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진 교수는 지난 6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국민 귀 건강 포럼’에서 “우울감과 불안감을 야기하거나 수면을 방해하는 등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이명을 질병이라고 하지 않고 증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이명 자체가 질병이 아니고 이명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질환 있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지면 대부분 불편감 호전이나 증상 완치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 교수는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이명 치료법이 진단을 늦춰 결과적으로 치료를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포털에서 ‘이명 치료’로 검색하면 한방, 신경외과, 신경과 의원들의 광고를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송 교수는 “환자 증상과 원인을 파악해 완치할 수 있는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데 인터넷이나 유튜브를 통해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이 난무하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기회가 멀어진다”며 “비과학적 치료를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도 침을 놓거나, 귀에 뜸을 뜨는 치료나 잃은 청각을 소리자극으로 되살려 이명을 치료한다는 광고를 볼 수 있다”며 “실제 환자들이 이에 현혹되거나 주변의 권고로, 광고를 보고 찾게 되는 안타까운 현실이 많다”고 지적했다.
진료 현장에서 이명 증상을 느끼는 사례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힌 송 교수는 “누구나 방음실에서 5분 정도 자극이 없으면 일시적으로, 영구적으로 이명을 느낄 수 있다”며 “이런 이명이 수면을 방해하거나 불안·우울감 증상으로 생활에 지장이 크면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