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8(목)
 

미국 질병특위 “60세 이상, 심근경색·뇌졸중 예방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말아야”


고혈압학회 “혈압 조절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스피린 사용 문제될 수 있어”

 

본문_기본_사진.gif
(사진=픽사베이)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60세 이상에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의 예방을 위해 건강기능식품처럼 복용하던 저용량 아스피린에 대한 위험성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미국의 독립적 정부기구 격인 질병예방특별위원회가 60세 이상은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 1차 예방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시작하지 말라는 지침을 발표한 이후 국내에서도 고령 고혈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은 고위험군에 국한해야한다는 새로운 지침이 나왔다.


50대부터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들이 늘어나면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예방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중장년층의 만성질환자들에게 생활습관 개선, 전문의 상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등을 3가지 심혈관 건강습관으로 권장해왔다.


하지만, 미국 질병예방특별위원회는 지난 2018년 발표된 3건의 대규모 임상시험과 14건의 다른 임상시험 결과 아스피린의 부작용인 위장 출혈과 뇌출혈 위험 증가가 아스피린의 효과보다 절대적으로 크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19년 미국 심장협회(AHA)와 미국심장학회(ACC)는  70세 이상은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 복용을 시작하지 말라고 권고한 바 있으며, 이번 지침에서는 연령이 10세 더 앞당겨졌다.


국내에서도 고령의 고혈압환자들이 심근경색과 뇌졸중 예방을 위해 새롭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을 엄격하게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한고혈압학회는 1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6회 춘계학술대회 특별세션을 통해 ‘대한고혈압학회 2022 고혈압 진료지침’을 발표했다. 4년 만에 바뀐 이번 진료 지침에서는 고령의 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은 고위험군에 국한해 권고한다고 변경했다.


이날 새로운 진료지침에 대해 발표한 원광의대 이은미 교수는 “고령의 고혈압 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은 출혈 위험과 관련하여 부작용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며 “특히 혈압 조절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스피린 사용은 더욱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스피린 사용의 이득이 명확한 심혈관질환, 죽상경화증 및 고위험군 환자에 주로 사용하고 위험도가 낮은 고령 환자에서 아스피린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미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환자가 연령이 증가하여 고령이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아스피린을 중단할 때는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 임상의가 판단하도록 했다.


또한, 고협약에 대해서도 치료지속성 개선을 위해 하루 한 번 투약과 단일제형복합제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권고 등급을 부여해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하도록 권고했다.


한편, 이번 진료지침에서는 더 강화된 목표 혈압이 제시됐다. 2018년에 발표된 우리나라 고혈압 진료지침은 고혈압의 진단 기준에 대해서는 기존의 140/90mmHg을 유지하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심혈관 질환 및 고위험 환자에서 목표 수축기 혈압을 130mmHg까지 낮추도록 권고했다. 


즉, 합병증이 없는 단순 고혈압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목표 혈압은 <140/90mmHg을 유지한다. 다만, 합병증이 없지만 무증상 장기 손상, 심뇌혈관 위험인자가 3개 이상 또는 당뇨병이 동반되었을 경우에는 목표 혈압을 <130/80mmHg으로 낮춘다. 또, 심혈관질환·단백뇨가 동반된 만성콩팥병 및 열공성뇌경색이 합병된 고혈압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목표 혈압을 <130/80mmHg으로 유지하도록 했다.


다만, 뇌졸중과 당뇨병이나 단백뇨 동반이 안 된 만성콩팥병의 경우는 고혈압 합병증으로 고위험 요인은 맞으나 임상 근거 부족으로 목표 혈압을 기존처럼 <140/90mmHg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령 고혈압 환자 ‘아스피린 사용’ 고위험군에 국한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