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본문_기본_사진.gif
강직성 척추염은 ‘혈청음성 척추관절병증’이라는 질환군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사진=건보공단)

 


새벽이나 아침에 일어난 후 허리 뻣뻣해지는 증상


건보공단 일산병원 박진수 교수 “젊은 남성에게서 발병 흔해, 성호르몬과 연관”


“적절한 치료 통해 합병증 막아 삶의 질 유지 가능”


[현대건강신문] 척추 마디가 굳어지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 10명 중 7명이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경우 여성보다 증상도 심하고 발병 시기도 빨라 진단 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직성 척추염은 ‘혈청음성 척추관절병증’이라는 질환군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새벽 또는 아침에 일어난 후 허리가 뻣뻣해 지는 증상이 발생하며 활동을 하다 보면 호전되면 강직성 척추염을 의심해야 한다.


그밖에 어깨, 무릎, 엉덩이 관절 등이 붓고 아프거나, 아킬레스 건염이나 족저근막염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가슴뼈 등으로 담이 결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세계 강직성 척추염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2016년 28,489명에서 2020년 34,891명으로 22.5%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11,575명에서 2020년 13,370명으로 15.5%  증가했다.


2020년 기준으로 강직성 척추염 환자를 연령대로 구분하면 40대가 24.7%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0.5% △50대가 18.0%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5.9%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21.7%, △50대가 17.4%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40대 21.5% △50대 19.6% △30대가 17.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 내과 박진수 교수는 “강직성 척추염은 남성에서 2~ 2.5배 가량 높게 발생하며 여성보다 증상도 심하고 발병 시기도 2~3년 정도 빠른 편”이라며 “특히 40대 이하의 젊은 나이의 남성에서 발병이 더 흔한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 뿐 아니라 성호르몬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하였다.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HLA-B27이라는 유전자의 보유 유무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돼 있다.


박 교수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90%에서 HLA-B27 유전자가 양성으로 확인된다”며 “HLA-B27 양성 정도에 따라 각 국가별 강직성 척추염 유병율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인의 5%에서도 양성으로 확인되기에 유전적 요인만으로 발생 원인을 모두 설명할 수 없으며, 이외에도 세균, 외상,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요인이 영향을 준다고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직성 척추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합병증이 발생해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척추의 강직이 진행되어 단순 유연성 저하 뿐 아니라 경추 침범 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생겨 상해와 골절의 위험이 커 질 수 있다.


박 교수는 “흉부의 강직으로 인해 호흡 시 갈비뼈 확장에 장애가 생겨 폐기능의 저하로 인한 호흡곤란이 올 수 있다”며 “척추관절 외 기관을 침범하게 되면 눈의 포도막염, 염증성 장염, 피부의 건선 및 드물게는 심장판막질환 등도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진행된 강직은 약물치료로 정상화 되지 않기에 조기에 치료를 하여 진행을 막거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척추 굳는 강직성 척추염, 남성 많고 증상도 심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