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가로_사진.gif
조헌재 신약조합 상무는 신약개발을 기간산업으로 선정해 육성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타당하지만, 진행과 관련해서는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최근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과 신약개발을 기간산업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정부의 정한 바이오헬스산업의 핵심 사안 중의 하나가 바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이다. 하지만,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가 글로벌 트렌드에 떠밀린 것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은 11일 ‘바이오헬스산업-신약산업-민간투자&기간산업’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조헌재 신약조합 상무는 신약개발을 기간산업으로 선정해 육성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타당하지만, 진행과 관련해서는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 상무는 “한국의 정책은 트렌드에 민감하다”며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경우, 글로벌 트렌드에 등 떠밀린 것이 아닌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오픈소스와의 협업, 빅데이터가 기본적으로 필요한데 이에 대한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조 상무는 “우리나라 빅데이터는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나온 진료정보인데 환자 개인정보로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며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활용한 방안을 먼저 마련하고, 글로벌 오픈소스와의 협업도 미리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목표가 궁극적으로는 환자들의 의료접근성 향상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며 “생산성 제고를 통해 의료접근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로_사진.gif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사무국장)는 바이오헬스신산업-신약개발을 신산업이 아닌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바이오헬스신산업-신약개발,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사무국장)는 바이오헬스신산업-신약개발을 신산업이 아닌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 전무는 “1997년 G7 프로젝트사업 종료와 함께 부처 간의 신약개발지원 역할분담론은 관계부처합동 차원에서 지원 육성시스템이 개조되어야 한다”며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과기부의 역할과 보험정책의 주무부처인 복지부의 역할이 유기체적인 한 몸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신약개발 관련 임상·생산지원은 산업부의 역할이 중요하고, 5년 이내에 대표적인 다국적 바이오제약기업을 약성해 산업경제적인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여 전무는 “특히, 국가의 신약개발 ‘프로그램 프레임웍’ 작업이 절실 하다‘며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은 기술·연구 분야와 질환 분류에 따라서 안배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업-대학-연구기관별 보유자원을 분석해 세계시장 경쟁력이 있는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선별해 우선적으로 견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자들은 다국적기업과 대규모 기술이전 등을 협의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높아졌고, 신약개발 파이프라인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신약개발산업을 현실산업으로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여 전무는 또 “글로벌 신약개발 수준을 높이기 위해 산업정책과 보건정책의 균형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신약개발기술들을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규 입법과 관련 법안의 규제 개정이 이뤄져야한다”고 촉구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AI 활용 신약개발, 트렌드에 떠밀린 것 아닌가 돌아봐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