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세로_사진.gif▲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교실 이형기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초동 대처가 나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일 품목 제네릭 개수가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발암의심 물질이 함유된 중국산 발사르탄 성분 고혈압치료제 사태로 국내 제약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일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회 의원회에서 ‘발사르탄 사태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교실 이형기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초동 대처가 나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일 품목 제네릭 개수가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국내 제네릭 진입 장벽이 너무 낮은 것이 문제”라며 “특히 제약사들에게 위탁·공동 생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데 이번 발사르탄 사태는 모두의 것은 그 누구의 것도 아님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발사르탄 사태는 제네릭의 품질을 보장하는 GMP 제도와 운영에도 적신호라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이 교수는 “정치 의제에 따라 턱없이 낮춘 제네릭 진입 장벽과, 제네릭 품질 관리를 보증할 제도 미비, 도덕적 해이라 할 법한 제네릭 가격우대가 이번 사태의 원인”이라며 “지금의 제네릭 정책이 계속될 경우, 발사르탄 유사 사태는 언제라도 재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이와 비슷한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탁·공동 생동 제도를 철폐하고, 제네릭에 상대적으로 고가의 약가를 보전해 주는 현행 약가 통제 제도를 수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정책과 김상봉 과장도 동일 품목 제네릭 수가 너무 많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했다.

김 과장은 “제네릭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에서도 이미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동일 품목 제품이 몇 백개에 이르고 다른 나라는 몇 개 수준이다”며 “현재, 이와 관련해 복지부와 협의 중에 있다. 수요와 공급환경을 다 같이 점검해서 이슈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발암의심 물질 발사르탄 사태, 국내 제네릭 정책이 키웠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