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가로_사진.gif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속 신약개발 플랫폼이 2019년 출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기 위한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글로벌 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및 연구데이터의 체계적 공유·활용을 위한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전략’의 선도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연 1,200조원 규모의 거대 시장으로, 향후 연 4~7% 내외의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시장으로 손꼽힌다.
 
이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산업인 반도체, 자동차, 조선 시장 합계를 넘는 규모로, 2021년에는 최대 1.5조 달러(약 1,80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하나의 글로벌 신약 창출을 위해 10년~15년의 오랜 시간과 1조원 이상의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야 하며, 성공확률도 매우 낮다는 것이 그간 글로벌 진출에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했다.
 
이로 인해 국내 제약사는 글로벌 기업에 비해 영세한 편이며, 이는 낮은 연구개발 투자로 이어져 고부가가치 신약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글로벌 1위 제약사의 매출은 45조원이나, 국내 1위 제약사는 약 1조 3천억원 수준이며, 연구개발 투자율은 글로벌 10대 제약사의 21.5%에 비해 국내 상장 제약사는 7.5%로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후발주자로서 이러한 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는R&D를 통해 축적된 연구데이터 및 병원 진료정보 등의 우수한 의료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다”며 “이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면 신약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단축하여 국내 신약개발 역량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신약개발은 후보물질 발굴→전임상시험→임상시험→시판의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연구 내용 및 활용되는 데이터가 다르므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후보물질 발굴 및 전임상시험 단계에서는 실험결과, 논문자료 등의 연구데이터가 주로 활용되며, 연구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은 최적의 후보물질을 제시하여 후보물질 탐색 비용을 줄이고, 실험결과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전임상시험 단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 시험 및 시판 단계에서는 진료정보, 건강보험 정보 등의료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하며, 의료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은 최적의 환자군을 제시하여 임상시험 기간을 단축하고, 시판 후의 효능·독성을 자동으로 추적해 부작용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과기정통부는 별도의 법령 제·개정 없이 가이드라인 마련 만으로 공유·활용이 가능한 연구데이터를 활용하여, 단기에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후보물질 발굴 단계의 프로젝트를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향후 후보물질 발굴 단계 뿐 아니라 신약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인공지능·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적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며, 우선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성공모델을 창출하여, 민간·범부처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가칭) 국가 AI 활용 신약개발 전략’을 올해 상반기 내 마련하여,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제약산업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인공지능·빅데이터 활용이 필수적으로, 관계부처와 협업하여 국가적 신약개발 역량 제고를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AI+빅데이터 활용 ‘고속 신약개발 플랫폼’ 추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