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19(화)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유명 인사의 자살사건 모방자살 영향력은 일반 자살사건 보도의 14.3배 높았다. 자살보도를 다루는 언론 매체 수가 많을수록 모방자살의 파급효과도 크다”

신은정 중앙자살센터 부센터장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18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해 언론 보도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청소년 자살 어떻게 막을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와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실과 공동주최로 개최됐다.

세로확장_사진.gif▲ 신은정 중앙자살센터 부센터장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18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해 언론 보도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자살 수단과 방법 등에 대한 상세한 묘사 언론 보도 자제해야

현재 우리나라의 청소년 자살률은 9년 연속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으며 2015년 기준 OECD회원국 중 만15세 청소년들에게 삶의 만족도를 10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한국은 6.36으로 71위를 기록할 정도이다. 심지어 청소년 5명 중 1명은 자살충돌을 경험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 2009년을 기점으로 자살률이 줄고 있기는 하지만, 유명인의 자살 등 사고가 있을 경우 모방 자살이 늘어날 우려가 크다. 특히 최근 아이돌인 샤이니 종현의 자살 사고로 청소년 자살 예방을 현장에서 담당하고 있는 상담사들은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라는 것이 신 부센터장의 말이다.

그는 “미디어의 속보 경쟁이 심각해지면서 자살의 수단과 방법 기술, 자살가지의 경위를 상세하게 묘사하는 등 매우 자극적으로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며 “자살방법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모방자살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실제로 종현의 자살 이후 장살 방법으로 ‘갈탄’에 대해 조회하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는 것이 신 부센터장의 설명이다.

언론 보도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확산 관리해야

언론 보도뿐만이 아니다. 최근에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트위터 등 SNS를 통한 확산이다.

신 부센터장은 “SNS를 통한 동반 자살자 모집이나 독극물 판매 정보는 삭제율이 상당히 낮아 종종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곤 한다”며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언론사들의 경우 최근 자성의 목소리가 담긴 기사가 게재되는 등 과거와는 확실히 다르다”며 “하지만 여전히 자살 관련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다. 자살보도권고기준 확산과 웹툰·드라마 등 문화콘텐츠 자율규제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로_사진.gif▲ ‘청소년 자살 어떻게 막을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와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실과 공동주최로 개최됐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는 자살의 1차예방과 관련해 우리사회가 자살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재조명과 교정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단 강윤형 단장은 자살을 사회적 타살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각 즉 자살사망자를 피해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자살 원인에 대한 조사와 치유대책 수립  필요

강 단장은 “학생 자살과 관련한 사안은 학교가 가장 피하고 싶어하는 사안으로 고위험군 학생에 대한 학교의 지속관리보다는 학생을 다른 기관 등으로 보내고 싶어 하거나, 학교를 중단하게 하는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는 학교를 비난할 사안이 아니라 학교를 지원해줘야 하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살 원인에 대한 정확한 규명을 통한 예방 및 치유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자살 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자살예방협회 백종우 사무총장(경희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청소년 자살의 심각성에 비해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인프라는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백 사무총장은 “지난 몇 년간 관심과 투자의 증가와 함께 학생자살예방을 위한 시스템 개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며 “이와 함께 원인에 대한 조사에 근거한 과학적 대책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위험군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백 사무총장은 “청소년 생명의 문제를 누가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며 “동시에 학교 및 학교밖 고위험 청소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의 홍현주 소장은 “청소년 자살은 2009년 10만명 당 6.5명으로 최고치였고 2010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며 “2016년 이후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깊은 관심과 논의가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청소년 자살예방 위해 미디어 역할 중요...자극적 보도 자제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