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가로_사진.gif▲ 서울역에 설치된 자동 심장 충격기. 자동 심장 충격기는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국내 심정지 발생의 약 80%는 비공공 장소에서 발생

김명연 의원 “공공장소 이외에 심장 충격기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심장 정지 환자의 심장을 소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 심장 충격기의 설치가 지역별로 차이가 극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자료 ‘자동 심장 충격기 시군구별 설치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심정지 환자 심폐소생을 위해 공공장소에 설치된 자동 심장 충격기의 설치비율이 대전이 가장 낮았고 제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된 자동 심장 충격기 1대당 인구 수를 보면 ▲ 대전광역시 4,652명 ▲ 부산광역시 4,584명 ▲ 울산광역시 4,271명 ▲ 대구광역시 2,973명 ▲ 충청남도 2,679명 ▲ 강원도 2,452명 ▲ 충청북도 2,451명 ▲ 세종특별시 2,300명 ▲ 경상남도 2,130명 ▲ 전라북도 2,046명 ▲ 인천광역시 1,919명 ▲ 광주광역시 1,915명 ▲ 경상북도 1,908명 ▲ 경기도 1,834명 ▲ 서울특별시 1,312명 ▲ 전라남도 1,133명 ▲ 제주도 751명으로 대전, 부산, 울산 순으로 인구 대비 심장 충격기 설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자동 심장 충격기는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2008년부터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공공기관과 대중에 모이는 공공장소에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 비율에 따른 설치 규정이 없어 자동 심장 충격기의 설치가 일부 지자체에서는 여전히 미흡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또한, 김명연 의원실에서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받은 ‘2010~2014년 심정지 발생 장소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심정지 5건 중 4건은 공공장소가 아닌 기숙사·농장·집 등 비공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심정지 발생 건수 대비 비공공장소 발생 빈도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 2010년 전체 2만 4천여건 중 1만 9천여건으로 79.7% ▲ 2011년 2만 4천여건 중 1만 9천여건으로 78.8% ▲ 2012년 2만6천여건 중 2만 1천여건으로 79.6% ▲ 2013년 2만 8천여건 중 2만 2천여건으로 80% ▲ 2014년 2만 9천여건 중 2만 3천여건으로 79.9%으로 국내 심정지 발생의 약 80%는 비공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의 2에는 비공공 장소에서의 심장 충격기 설치 규정이 없어 비공공 장소에 대한 심정지 대책이 무방비 상태다.

이에 김명연 의원은 “각 지자체는 자동 심장 충격기 설치 의무화 규정을 잘 지켜 급성 심정지 환자 생존율을 선진국 수준인 9~10%대로 높여야 한다”며 “보건당국은 비공공장소에서의 심정지 발생이 높은 점에 착안하여 공공장소 이외의 장소에도 자동 심장 충격기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구 대비 자동 심장 충격기 설치율 대전 최저, 제주 최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