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6(화)
 
"치매뿐 아니라 3대 노인성 뇌질환인 파킨슨병 관리체계 구축도 필요”

남인순_대표.jpg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우리나라 치매 환자가 노인 10명 중 1명꼴,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노인 10명 중 4명꼴로 집계되고 있는 가운데, 치매에 대한 사후적 지원 못지않게 예방적 개입을 강화하여 고위험군에 대한 치매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68만5,739명으로 노인 10명 중 1명꼴로 추정되며,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수는 165만1,340명으로 노인 10명 중 4명꼴로 추정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오른쪽 사진)은지난 14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치매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정책질의를 통해  “새 정부가 치매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치매 환자에 대한 사후적 지원 못지않게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적 개입을 강화하여 치매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치매 고위험군의 조기발견을 통해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킬 경우 20%의 사회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20년 후에는 치매 유병율이 80.1% 수준으로 낮아지고 중증도도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남 의원은 “치매치료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하여야 하며,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 가이드라인을 연구하고, 근거 기반의 치매예방 정책 수립을 위해 운동, 인지중재치료, 영양관리, 약물관리 등의 예방 방법을 포함한 임상연구도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뇌줄중과 함께 파킨슨병은 3대 노인성 뇌질환으로 꼽히며, 고령화와 함께 파킨슨병 환자도 60세 이상 인구 중 약 1%가 앓고 있어, 병을 키우지 말고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해야 한다

남 의원은 “치매 뿐만 아니라 파킨슨병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책도 필요하다”며 총리의 견해를 물었다.한편 문재인 정부가 국가 치매책임제 도입을 추진하고, 이번 추경을 통해 전국의 시군구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 205개소를 신규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대폭 확충하며, 치매안심병원을 확충하기로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서울 25개소, 부산 1개소 등 9개 시도에 치매지원센터, 치매상담센터, 치매통합관리센터 등 모두 47개소의 치매안심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남 의원은 “전국 17개 시도 중 8개 시도에는 한 개소도 없어, 모든 시군구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시설과 평균 25명의 전담인력 확충을 통해 치매노인과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해 1대1 맞춤형 서비스 지원 및 사후관리를 통해 증상 악화를 최대한 지연하고, 환자가족에 대해서도 교육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부양부담을 경감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확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신규 채용인력 5,125명에 대한 소양교육 및 직무교육 실시가 필요하고 치매안심센터 운영 관련 치매노인등록관리시스템 개발·운영이 필요해, 관련 예산을 추경예산에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남 의원은 또한 치매 관련 장기요양서비스를 개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증 치매노인도 지난 2014년부터 장기요양 5등급에 포함하여 증상악화 지연, 잔존기능 유지 등을 위한 인지활동 프로그램, 가사활동 함께하기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장기요양서비스는 신체기능 중심으로 등급을 판단하고 있어, 신체 기능이 양호한 경증 치매노인은 등급판정에서 탈락하고 있고, 치매에 특화된 장기요양서비스가 부족하다. 장기요양 5등급 대상자를 확대하고, 등급판정 시 치매증상 정도에 따른 요양필요도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기요양기관이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확충 배치 등 치매에 특화된 전문케어에 대해 가산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말했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지난해 치매환자 68만명, 경도인지장애 환자 165만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